Software? Service?… Software Plus Service… 그리고 Meta Platform…

많은 단어들이 항상 IT 업계에 회자가 되고, 유행이 되고, 어느순간 없어지게 됩니다. 우리는 이런 것을 트렌드(Trend)라고 부르고 있죠. 보통 이러한 트렌드에 따라 기업의 비즈니스 방향이 결정이 되고, 이러한 비즈니스는 기업의 이익과 관련되어져서 돌아가야 합니다.

소프트웨어, 서비스.. 이 두가지 모델에서 IT 이야기가 많이 흘러가고 있고, 이러한 흐름속에 IT 엔지니어, 매니저, 의사 결정권자가 어떤 시각을 가져야 할 지에 대해 간략히 꼬알라의 생각을 논해볼까 합니다. :)

소프트웨어를 사용한다는 의미 그자체는, 개인이 사용하는 데스크톱에 특정한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이를 기반으로 여러가지 업무, 생활을 해가는 모습, 비즈니스적으로는 소프트웨어를 통한 라이센스 기반의 비즈니스도 이에 해당될 수 있습니다.

서비스를 이용한다는 의미는, 로컬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보다는 특정 서버에서 제공중인 서비스를 이용하여 소프트웨어를 쓸때와 비슷한 형태로 관련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모습을 의미하고 있고요. 요새는 이 서비스 비즈니스 모델에 검색과 광고와 같은 시장도 같이 따라다니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서비스 기반 솔루션은 브라우저를 이용한 서비스 접근성을 제공하고 있는 형태가 요새 대부분의 모양새라고 보여집니다.

혹자들은 소프트웨어가 이제 서비스에 밀려, 사양세로 흘러가고 있다고 주장하기도 하며, 또다른 사람들은 여전히 서비스는 소프트웨어를 대체할 수 없다라는 이야기도 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죠. 한가지 잘 생각해봐야 할 사실이 있습니다. 어느 한쪽으로 흘러가서, 결국 그 모델로 끝날 것이냐?

조금만 시각을 돌려보죠. 모든 집에는 세탁기가 있습니다. 그렇지만 우리는 세탁소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세탁기로는 할 수 없는 세탁 방식이 있을 수도 있고, 집에서 세탁기를 가동시키는 것보다, 사람이 생각하기에 세탁소를 쓰는 것이 더 가치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물론 그 큰 드라이크리닝 기계를 집에다 두는 자체가 어려운 일이다라는 생각에는 동의하실거라고 봅니다. 다른 예를 하나 들어볼까요? 요즘 많은 종류의 음식점들이 생기고 있고, 이러한 음식점을 우리들은 잘 이용해가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집에서 밥을 해먹을 수 있는 여러 식기 도구가 없는 것도 아니라는 것이죠. 물론 트렌드에 따라서 외식을 많이 하는 시점이 있을 수 있고, 시장의 요소, 예를 들어 식중독이라던가? 먹거리파동과 같은 사건으로 인해 외식을 줄이고, 집에서 밥을 해먹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어떠한 트렌드는 역사적으로 계속 돌고 도는 모습을 가지고 있으며, 트렌드를 결정하는 중요한 팩터는 돈보다는 사람에 의해서 결정되게 됩니다.

두가지 예를 들었습니다만, 전자의 예제에서는 세탁기 = 소프트웨어, 세탁소 = 서비스, 후자의 예제에서는 음식점 = 서비스, 식기 도구 = 소프트웨어.. 시장의 트렌드는 결국 사람이 결정하는 요소이기 때문에, 언제 다시 소프트웨어가 대세가 될지 모르며, 서비스가 대세가 될지 모릅니다. 어느 한쪽으로 확 기울어서 한쪽이 없어지는 모델로는 가지 않는다는 것이죠.

image

그렇다고 한다면.. 비즈니스를 지속해야 하는 기업의 입장에서는 딜레마에 빠지게 됩니다. 서비스? 소프트웨어? 무엇을 선택해야 할 것인가? 소프트웨어와 서비스는 적절한 균형을 이루어야 합니다. 소프트웨어와 서비스의 시소에서 서비스에 무게를 더 실게 되면, 서비스 기반의 비즈니스를 할 수 있게 되며, 소프트웨어에 더 무게를 실게 되면, 소프트웨어 기반의 비즈니스를 할 수 있게 됩니다.

image image

다시 언급하지만, 이러한 시소를 움직이는 것은 기술, 돈이 아닌 사람이 움직이게 되며, 이러한 사람이 움직이는 모습은 트렌드라고 우리가 칭할 수 있다는 것이죠. 어떤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받을 사용자의 입장에서 플랫폼 위의 소프트웨어 또는 브라우저와 서비스와의 결합이 사용자의 경험적인 측면이나 서비스의 가치에 대한 측면에서도 훨씬 뛰어난 형태를 제공받을 수 있는 데스크톱 위의 응용 프로그램(소프트웨어) 가 필요하게 될 것입니다. RIA, Web 2.0과 같은 단어들이 많이 언급되고 있는 것도 결국에는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얼마나 뛰어난 환경과 가치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되냐는 것입니다. 단순한 서비스 측면만을 고려해서는 사용자에게 이러한 가치를 제공할 수가 없습니다. 왜냐?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이야기합니다.

image image

image image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입장에서도 다른 곳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들을 합쳐가는(Assemble) 모습을 가져가겠죠. 지금까지의 솔루션은 대부분 사내에 모든 인프라를 다 구성하는(On-Premise) 형태가 되었지만, 일부는 호스팅되고 있는 서버에서 구동되는 형태, 아니면 어딘가에서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여러 기반의 인프라, 서비스를 통해 우리는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비즈니스를 하고 있죠. 이 인프라는 이제 비즈니스적으로 없어서는 안되는 매우 중요한 전략적인 부분이 되게 됩니다. IT 부서가 존재해야 할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죠.

image

IT가 이러한 시소의 모습에서 어떻게 준비를 하고 있어야 할까요?

위와 같은 빠르게 변하고, 날로 복잡해져가는 트렌드에 발빠르게 움직일 수 있는 방안 중 가장 첫번째 인프라 방안이 바로 메타 플랫폼의 채택입니다. 필요시 손쉽게 인프라를 확장할 수 있고, 불필요한 경우에는 이를 다시 축소할 수 있는.. 그리고 이러한 처리는 민첩함(Agile)이 필요하게 됩니다. 조금이라도 늦게 되면, 그 트렌드를 경쟁사나 다른 어딘가에서 먼저 대응하게 될 수도 있다는 것이죠. 일차적으로 필요한 것이 바로 메타 플랫폼이라는 것입니다. 물리적인 형태의 데이터센터가 아닌, 논리적인 형태의 데이터센터가 더욱 빠르게 이러한 전환을 가능하게 해주며, 또다른 트렌드의 변경에 유연한 전환을 제공하게 됩니다.